이게 뭔지 궁금해요

주택연금 수령 중 이사 시 연금은 어떻게 되나요?

고운바다 2025. 6. 10. 10:19

주택연금 수령 중 이사하는 경우, 연금 지급 방식은 이사 유형과 주택연금 계약 조건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은 구체적인 상황별 설명입니다.

1. 담보주택 변경 없이 단순 거주지만 변경하는 경우

  • 원칙: 주택연금은 담보 주택에 거주하는 것을 전제로 하므로, 단순 거주지 변경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예외: 다음의 경우에는 일시적으로 거주지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입원 치료: 질병 치료를 위해 일시적으로 병원에 입원하는 경우.
    • 요양원 입소: 노부모 봉양, 질병 치료 등을 위해 일시적으로 요양원에 입소하는 경우.
    • 주택 수리: 주택 보수 공사 등으로 인해 일시적으로 다른 곳에 거주해야 하는 경우.
    • 재해: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주택 거주가 불가능한 경우.

    이러한 예외 사유에 해당될 경우, 공사에 반드시 사전 신고해야 합니다. 신고 없이 거주지를 변경하면 연금 지급이 중단될 수 있습니다.

2. 담보주택을 변경하는 경우 (이사)

담보주택을 변경하는 경우는 크게 두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 기존 주택을 처분하고 새로운 주택으로 이사하는 경우

    1. 새로운 주택으로 주택연금 승계:
      • 새로운 주택이 주택연금 가입 조건(주택 가격 등)을 충족하는 경우, 기존 주택연금 계약을 해지하고 새로운 주택을 담보로 주택연금을 다시 가입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기존에 받던 연금액과 달라질 수 있으며, 새로운 주택 가격, 가입 시점의 연령, 금리 등이 영향을 미칩니다.
      • 새로운 주택연금 가입 시, 기존 주택연금 해지로 인해 발생하는 정산금(연금 지급액 - 주택 처분 금액)이 있을 수 있습니다. 정산금이 남으면 상환해야 하고, 남는 금액이 있다면 상속인에게 상속됩니다.
    2. 주택연금 해지 후 이사:
      • 새로운 주택이 주택연금 가입 조건을 충족하지 못하거나, 개인적인 사정으로 주택연금을 유지하고 싶지 않은 경우, 기존 주택연금을 해지하고 이사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주택연금 해지에 따른 정산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기존 주택을 임대하고 다른 주택으로 이사하는 경우

    • 원칙: 주택연금은 담보 주택에 '실거주'하는 것을 전제로 합니다. 따라서 기존 주택을 임대하고 다른 곳으로 이사하는 것은 원칙적으로 불가능합니다.
    • 예외: 예외적으로 공사의 승인을 받는 경우, 담보 주택에 거주하지 않아도 연금을 계속 수령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공사에 문의 필요)

3. 핵심 고려 사항

  • 사전 상담: 이사를 결정하기 전에 반드시 주택금융공사에 연락하여 상담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개인의 상황에 맞는 최적의 해결 방안을 제시받을 수 있습니다.
  • 정산금: 주택연금 해지 시 발생하는 정산금은 예상보다 클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새로운 주택연금 가입 조건: 새로운 주택으로 주택연금을 승계할 경우, 주택 가격, 가입 연령, 금리 등 다양한 요인에 따라 연금 수령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계약 조건 확인: 가입 당시의 주택연금 계약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여 불이익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 주택연금은 복잡한 금융 상품이므로, 관련 규정을 정확히 이해하고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 주택금융공사 외에 다른 금융기관의 상담은 정확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반드시 주택금융공사에 문의해야 합니다.
  • 불법적인 방법을 사용하여 주택연금을 수령하는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