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위 매물 부동산에 대한 처벌은 다음과 같습니다.
1. 형사 처벌:
- 형법상 사기죄: 허위 매물을 통해 계약금을 편취하거나 부당한 이득을 취득한 경우, 형법상 사기죄가 성립될 수 있습니다. 사기죄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 공정거래법 위반: 허위·과장 광고로 소비자를 유인하거나, 소비자의 선택을 방해하는 행위는 공정거래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위반 행위에 대해 시정명령, 과징금 부과 등의 제재를 가할 수 있습니다.
2. 행정 처분:
- 공인중개사법 위반: 공인중개사, 중개보조원, 개업공인중개사 등이 허위 매물을 게시하거나, 중요 정보를 누락·은폐하는 경우 공인중개사법 위반에 해당됩니다.
- 개업공인중개사: 업무정지, 과태료 부과, 심한 경우 등록 취소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소속공인중개사 및 중개보조원: 자격정지 처분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위반: 허위의 부동산 거래 가격을 신고하거나, 신고 의무를 위반하는 경우 과태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3. 민사 책임:
- 손해배상 청구: 허위 매물로 인해 피해를 입은 소비자는 해당 부동산 중개업자 또는 광고주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손해배상의 범위는 계약금, 중개수수료, 이사비용, 정신적 피해 등에 대한 배상을 포함할 수 있습니다.
- 계약 취소 또는 해제: 허위 매물로 인해 계약을 체결한 경우, 소비자는 계약을 취소하거나 해제하고 계약금 반환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처벌 수위:
위반 행위의 종류, 정도, 횟수, 피해 규모 등에 따라 처벌 수위는 달라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단순한 오기재나 착오로 인한 허위 매물의 경우 과태료 부과 등 비교적 가벼운 처벌을 받을 수 있지만, 조직적으로 허위 매물을 게시하여 다수의 피해자를 발생시킨 경우에는 징역형을 포함한 무거운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법률:
- 형법
- 공정거래법
- 공인중개사법
- 부동산 거래신고 등에 관한 법률
주의 사항:
- 허위 매물 신고는 국토교통부 부동산거래질서교란행위 신고센터 또는 관할 시·군·구청에 할 수 있습니다.
- 허위 매물 피해를 입은 경우, 증거 자료(매물 광고, 계약서, 녹취록 등)를 확보하여 변호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게 뭔지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세집 화장실 환풍기 고장 교체비용 누가 부담하나요? (0) | 2025.04.26 |
---|---|
어린이보호구역 정체 중 적색신호 걸렸는데 신호위반 과태료 내야 하나요? (0) | 2025.04.26 |
마트 안내판 넘어뜨린 후 그냥 가면 재물손괴죄 되나요? (0) | 2025.04.26 |
전세계약서 없으면 전세계약 해지 후 보증금 못 받나요? (0) | 2025.04.26 |
학폭 재발 시 이전 건 소급하여 가중 처벌 가능할까요? (0) | 2025.04.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