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샘추위는 봄철에 일시적으로 나타나는 추위 현상으로, 주된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대륙성 고기압의 확장:
- 시베리아 고기압의 잔존: 겨울철에 강력하게 발달했던 시베리아 고기압은 봄이 되어 약화되지만, 완전히 소멸하지 않고 남아 있습니다.
- 북극진동(Arctic Oscillation)의 음의 위상: 북극진동은 북극 지역의 기압 변동을 나타내는 지수로, 음의 위상일 때 제트 기류가 약해지고 남쪽으로 뱀처럼 굽이쳐 흐르게 됩니다. 이로 인해 시베리아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포함한 중위도 지역까지 확장하기 쉬워집니다.
- 블로킹(Blocking) 현상: 특정 지역에 고기압이 정체하면서 주변 기압 흐름을 막는 블로킹 현상이 발생하면, 시베리아 고기압이 확장된 상태로 오래 머무르게 됩니다.
2. 차가운 공기의 남하:
- 극지방의 찬 공기: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기온이 상승하면서 극지방과 중위도 지역 간의 기온 차이가 줄어들고, 제트 기류가 약화됩니다. 약해진 제트 기류는 극지방의 찬 공기를 가두는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해, 찬 공기가 중위도 지역으로 더 쉽게 남하하게 됩니다.
- 이동성 고기압의 영향: 대륙성 고기압이 확장하면서 이동성 고기압이 우리나라를 통과할 때, 북쪽의 찬 공기를 함께 몰고 내려와 기온이 급격히 떨어질 수 있습니다.
3. 복사 냉각:
- 맑은 날씨: 꽃샘추위가 나타날 때는 보통 맑은 날씨가 이어집니다. 맑은 날씨에는 지표면에서 복사 에너지 방출이 활발하게 일어나 지표면 온도가 빠르게 낮아집니다.
- 밤사이 기온 하강: 특히 밤에는 태양 복사 에너지가 공급되지 않으므로 복사 냉각 효과가 더욱 커져 기온이 크게 떨어집니다.
종합:
꽃샘추위는 위에서 언급한 여러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시베리아 고기압의 잔존, 북극진동의 음의 위상, 블로킹 현상 등으로 인해 대륙성 고기압이 확장하고, 극지방의 찬 공기가 남하하면서 맑은 날씨에 복사 냉각까지 더해져 기온이 급격히 떨어지는 것입니다. 최근에는 지구 온난화로 인해 극지방의 찬 공기가 더 자주 남하하면서 꽃샘추위의 강도와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이게 뭔지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안 장애: 약물 vs 비약물 치료, 장단점 및 선택 기준? (0) | 2025.04.06 |
---|---|
성인 ADHD 진단 기준, 치료 방법, 평가, 계획은? (0) | 2025.04.06 |
다양한 중독 치료법 차이점, 어려움 및 극복 방법은? (1) | 2025.04.06 |
폭식증, 거식증 원인과 심리, 사회적 요인은? (0) | 2025.04.06 |
언어 발달 느린 유아, 효과적인 교육 방법은? (0) | 2025.04.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