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계약직 2년 근무하고 바로 동일 회사의 다른 부서에서 계약직 근무 가능한가요?

고운바다 2025. 2. 20. 11:28

계약직 2년 근무 후 동일 회사 내 다른 부서에서 계약직 근무 가능성은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집니다. 다음은 구체적인 고려 사항입니다.

1. 법적 제한:

  • 기간제법 (기간제 및 단시간근로자 보호 등에 관한 법률): 이 법에 따라 사용자는 2년을 초과하여 기간제 근로자를 사용하는 경우, 해당 근로자를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 (정규직)로 간주해야 합니다.
  • 예외 조항: 기간제법에는 예외 조항이 존재합니다. 다음의 경우 2년 초과 사용이 가능합니다.
    • 사업의 완료 또는 특정 업무의 완성에 필요한 기간을 정한 경우: 특정 프로젝트, 계절적 업무 등 완료 시점이 명확한 경우
    • 휴직・파견 등으로 결원이 발생하여 대체인력을 사용하는 경우: 휴직자 복귀 시점까지
    • 고령자 (만 55세 이상)를 고용하는 경우
    • 전문적인 지식・기술이 필요한 경우: 객관적으로 전문성이 인정되는 직무
    • 그 밖에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 경우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경우
  • 다른 부서 이동의 영향: 2년 근무 후 다른 부서로 이동하는 경우, 이것이 '새로운 고용'으로 간주될 수 있는지 여부가 중요합니다. 만약 새로운 고용으로 인정된다면, 새로운 계약 기간 2년이 다시 시작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단순한 부서 이동으로 판단될 경우, 기존 근속 기간이 이어져 2년 초과 사용 제한에 걸릴 수 있습니다.

2. 회사 내부 규정 및 정책:

  • 취업 규칙, 인사 규정: 회사의 취업 규칙이나 인사 규정에 계약직 운영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명시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계약 갱신, 부서 이동 등에 대한 규정을 확인해야 합니다.
  • 계약직 운영 정책: 회사 내부에 계약직 운영에 대한 별도의 정책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인사팀에 문의하여 해당 정책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관행: 법적으로 문제가 없더라도, 회사 내부적으로 계약직을 특정 기간 이상 고용하지 않는 관행이 있을 수 있습니다.

3. 계약 내용:

  • 기존 계약서: 기존 계약서에 계약 갱신, 부서 이동 등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 새로운 계약서: 다른 부서에서 근무하기 위해 새로운 계약서를 작성하는 경우, 계약 조건을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계약 기간, 업무 내용, 보수 등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회사와 협의해야 합니다.

4. 고려해야 할 점:

  • 고용 불안: 계약직은 고용이 불안정하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계약 만료 시 계약 갱신이 되지 않을 수 있으며, 회사의 경영 상황에 따라 계약이 중도 해지될 수도 있습니다.
  • 처우: 정규직에 비해 급여, 복지 등의 처우가 불리할 수 있습니다.
  • 경력 관리: 계약직 경력이 향후 이직 시 불리하게 작용할 수도 있습니다.

결론:

계약직 2년 근무 후 동일 회사 내 다른 부서에서 계약직 근무 가능성은 법적 요건, 회사 내부 규정, 계약 내용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인사팀에 문의하여 정확한 정보를 확인하고, 본인의 상황에 맞는 결정을 내리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