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즉시 취해야 할 조치는?

고운바다 2025. 4. 7. 10:20

교통사고 발생 시 운전자가 즉시 취해야 할 조치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부상자 확인 및 응급조치:

  • 자신과 동승자의 부상 여부 확인: 먼저 자신의 상태를 확인하고, 동승자가 있다면 부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다른 차량 탑승자 및 보행자 확인: 사고 관련 차량의 탑승자와 주변 보행자의 부상 여부를 확인합니다.
  • 응급처치: 부상자가 있을 경우, 즉시 119에 신고하여 구급차를 요청하고, 가능하다면 출혈 부위 압박 등 응급처치를 실시합니다.
  • 환자 이송 시 주의: 부상자를 함부로 이동시키지 않도록 합니다. 척추 손상 등이 의심될 경우, 추가적인 부상을 야기할 수 있습니다.

2. 사고 현장 안전 확보:

  • 비상등 점등: 차량의 비상등을 켜서 다른 차량에게 사고 발생을 알립니다.
  • 삼각대 설치: 주간에는 100m, 야간에는 200m 후방에 안전 삼각대를 설치하여 2차 사고를 예방합니다. 고속도로에서는 갓길로 대피 후 가드레일 밖 안전한 장소에 삼각대를 설치합니다.
  • 추가 사고 방지 조치: 필요하다면 주변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 수신호 등을 통해 차량 통행을 유도합니다.

3. 증거 확보:

  • 사진 및 영상 촬영: 사고 현장, 파손 부위, 차량 번호판, 주변 환경 등을 다양한 각도에서 사진이나 영상으로 촬영합니다. 블랙박스 영상은 필수로 확보합니다.
  • 목격자 확보: 목격자가 있다면 연락처를 확보하고, 사고 상황에 대한 진술을 요청합니다.
  • 사고 상황 기록: 사고 발생 시간, 장소, 사고 상황 등을 상세하게 기록해 둡니다.

4. 경찰 신고:

  • 필수 신고 대상:
    • 사망자 또는 부상자가 발생한 경우 (인피사고)
    • 차량 파손 정도가 심하여 운행이 불가능한 경우
    • 대물 피해가 발생했지만, 당사자 간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 신고 방법: 112에 전화하여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리고, 경찰의 안내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사고 미신고 시 처벌: 인피사고 발생 시, 사고 후 미조치 및 도주 시에는 특정범죄 가중처벌 등에 관한 법률에 따라 가중 처벌될 수 있습니다.

5. 보험사 연락:

  • 사고 접수: 가입한 보험사에 사고 발생 사실을 알리고, 보험 접수를 진행합니다.
  • 보험 처리 절차 안내: 보험사로부터 보험 처리 절차, 필요 서류 등에 대한 안내를 받습니다.
  • 렌터카 이용: 필요한 경우 렌터카 이용 가능 여부를 확인합니다.

6. 기타:

  • 흥분 자제: 사고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침착하게 대응합니다.
  • 합의는 신중하게: 경미한 사고라도 현장에서 섣불리 합의하지 않도록 합니다.
  • 정비업체 선정: 차량 수리가 필요한 경우, 신뢰할 수 있는 정비업체를 선택합니다.

주의사항:

  • 사고 현장을 훼손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음주운전, 무면허운전 등 불법 행위는 절대 하지 않습니다.
  • 상대방을 자극하는 언행은 삼가고,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않도록 합니다.

위의 조치들은 사고 상황에 따라 일부 변경될 수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침착하게 상황을 판단하고, 필요한 조치를 신속하게 취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