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건강검진 받을 때 MRI와 MRA 차이

고운바다 2025. 2. 15. 12:44

건강검진 시 MRI와 MRA는 모두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 내부를 촬영하는 검사이지만, 검사 목적과 촬영 부위, 그리고 강조하는 부분이 다릅니다. 마치 사진과 비디오처럼, MRI는 정적인 이미지를, MRA는 혈관의 흐름을 보여주는 데 특화되어 있다고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입니다.

1. MRI (Magnetic Resonance Imaging, 자기 공명 영상)

  • 목적:
  • 주로 뇌, 척추, 관절, 근육, 장기 등 연부 조직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 종양, 염증, 퇴행성 변화, 손상 등을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 촬영 부위:
  • 뇌 MRI: 뇌졸중, 뇌종양, 뇌출혈, 뇌 위축, 다발성 경화증 등
  • 척추 MRI: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척추 종양, 척수 손상 등
  • 관절 MRI: 인대 파열, 연골 손상, 활액막염, 퇴행성 관절염 등
  • 복부 MRI: 간, 담낭, 췌장, 신장, 비장 등의 종양, 염증, 낭종 등
  • 특징:
  • 인체에 무해한 자기장과 고주파를 사용합니다.
  • 방사선을 사용하지 않아 안전합니다.
  • 다양한 각도에서 촬영하여 3차원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검사 시간이 비교적 길고, 소음이 큽니다.
  • 폐쇄 공포증이 있는 경우 검사가 어려울 수 있습니다.

2. MRA (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자기 공명 혈관 조영술)

  • 목적:
  • 주로 혈관의 형태, 혈류 속도, 혈관 벽의 이상 유무를 확인합니다.
  • 동맥류, 혈관 협착, 혈관 기형, 혈전 등을 진단하는 데 유용합니다.
  • 촬영 부위:
  • 뇌 MRA: 뇌동맥류, 뇌혈관 협착, 뇌혈관 기형 등
  • 경동맥 MRA: 경동맥 협착, 경동맥 박리 등
  • 복부 MRA: 신동맥 협착, 장간막 동맥 폐색 등
  • 사지 MRA: 말초 동맥 질환, 혈관 종양 등
  • 특징:
  • MRI와 마찬가지로 자기장과 고주파를 사용합니다.
  • 혈관을 더 잘 보이게 하기 위해 조영제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혈관의 3차원적인 영상을 얻을 수 있습니다.
  • 혈류 속도, 혈관 벽의 상태 등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조영제 부작용 가능성이 있습니다 (드물지만 신장 기능 저하 환자는 주의해야 함).

요약

구분 MRI MRA
주요 목적 연부 조직 진단 (뇌, 척추, 관절, 장기 등) 혈관 진단 (동맥류, 혈관 협착, 혈관 기형 등)
강조하는 부분 조직의 구조, 병변의 유무 혈관의 형태, 혈류 속도
조영제 사용 필요한 경우 (종양 감별 등) 필요한 경우 (혈관 강조)

건강검진 시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할까요?

어떤 검사가 필요한지는 개인의 건강 상태, 위험 요인, 그리고 검진 목적에 따라 달라집니다.

  • 뇌졸중, 심혈관 질환 가족력이 있거나 고혈압, 당뇨병, 고지혈증 등의 위험 요인이 있는 경우, 뇌 MRA 또는 경동맥 MRA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만성 두통, 어지럼증, 시력 저하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뇌 MRI를 통해 뇌의 구조적인 이상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 허리 통증, 다리 저림 등의 증상이 있는 경우, 척추 MRI를 통해 디스크, 척추관 협착증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가장 좋은 방법은 의사와 상담하여 본인에게 맞는 검사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건강검진 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여 검사 목적과 필요성을 확인하고, 궁금한 점은 질문하여 불필요한 검사를 피하고 효율적인 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