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물부족 국가는 어디이고, 그 이유는 뭔가요?

고운바다 2025. 3. 22. 08:37

물 부족 국가는 크게 두 가지 기준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물 스트레스 지수 (Water Stress Index):

  • 개념: 가용한 물 자원에 대한 물 수요량의 비율로, 1에 가까울수록 물 스트레스가 심각함을 의미합니다.

  • 물 스트레스 국가: 바레인, 키프로스, 쿠웨이트, 레바논, 오만, 카타르, 아랍에미리트, 사우디아라비아, 이스라엘, 이집트, 리비아, 예멘, 요르단, 보츠와나 등이 있습니다.

    • 이유:

      • 지리적 요인: 강수량이 적고 증발량이 많은 건조 기후 또는 반건조 기후 지역에 위치해 자연적으로 물 공급이 부족합니다.
      • 인구 증가: 급격한 인구 증가로 인해 물 수요가 급증하고 있습니다. 특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물 소비량이 더욱 늘어나고 있습니다.
      • 산업 발전: 산업 활동, 특히 농업 및 제조업에서 물 사용량이 많아 물 부족을 심화시킵니다.
      • 비효율적인 물 관리: 낡은 관개 시설, 누수, 비효율적인 물 사용 습관 등으로 인해 물 낭비가 심각합니다.
      • 수질 오염: 산업 폐수, 생활 하수 등으로 인해 이용 가능한 물 자원의 양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 정치적 불안정: 내전, 분쟁 등으로 인해 물 자원 관리 및 공급 시스템이 파괴되거나 마비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기후 변화: 가뭄, 홍수 등 극단적인 기상 현상이 빈번해지면서 물 공급의 불확실성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2. 1인당 연간 가용 수자원량:

  • 개념: 1인당 연간 이용 가능한 물의 양으로, 1,700㎥ 미만일 경우 물 스트레스 국가, 1,000㎥ 미만일 경우 물 부족 국가, 500㎥ 미만일 경우 절대 물 부족 국가로 분류합니다.

  • 물 부족 국가 (예시): 싱가포르, 몰타, 몰디브 등이 있습니다.

    • 이유:

      • 좁은 국토 면적: 국토 면적이 좁아 빗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고, 자체적인 수원 확보가 어렵습니다.
      • 높은 인구 밀도: 좁은 면적에 많은 인구가 거주하면서 1인당 가용 수자원량이 감소합니다.
      • 산업 발달: 산업 활동에 필요한 물 수요가 많아 물 부족을 심화시킵니다.
      • 수입 의존: 물 자원을 수입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외부 요인에 취약합니다.
      • 해수 침투: 해안 지역의 경우 지하수에 바닷물이 침투하여 수질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구체적인 예시:

  • 요르단: 강수량이 매우 적고 인구 증가율이 높아 심각한 물 부족 국가입니다. 또한, 시리아 난민 유입으로 인해 물 수요가 더욱 증가했습니다.
  • 싱가포르: 좁은 국토 면적과 높은 인구 밀도로 인해 빗물 저장 공간이 부족하고, 말레이시아로부터 물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해수 담수화 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습니다.
  • 이스라엘: 건조한 기후에도 불구하고 효율적인 물 관리 기술을 통해 농업 생산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하지만 팔레스타인과의 물 분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물 부족 문제는 국가별로 다양한 원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따라서 각 국가의 상황에 맞는 맞춤형 해결책 마련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