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동해 수온, 과거 대비 얼마나 올랐나?

고운바다 2025. 3. 30. 07:50

동해의 수온 상승은 전 지구적인 해수 온도 상승 추세와 더불어 더욱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구체적인 수치와 변화 양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장기적인 수온 상승 추세:

  • 전반적인 상승폭: 지난 100년 동안(1900년대 초반부터 현재까지) 동해 표층 수온은 전 세계 평균 해수 온도 상승폭보다 훨씬 높은 수준으로 상승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1.3 ~ 1.5℃ 정도 상승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는 전 세계 평균 해수 온도 상승폭(약 0.6 ~ 0.8℃)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입니다.
  • 최근의 가속화: 특히 최근 수십 년 동안 수온 상승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1980년대 이후부터 현재까지의 상승폭은 이전 기간보다 훨씬 더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2. 지역별 차이:

  • 북한 한류와 관련된 지역: 동해 북부 지역은 북한 한류의 영향을 받아 상대적으로 수온이 낮은 경향이 있었으나, 최근에는 이 지역의 수온 상승폭이 다른 지역보다 더 크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이는 북한 한류의 세력이 약화되면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분석됩니다.
  • 울릉도, 독도 주변 해역: 울릉도와 독도 주변 해역은 동해의 다른 지역보다 수온이 높게 유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지역 역시 꾸준히 수온이 상승하고 있으며, 특히 아열대 해양 생물종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는 등 생태계 변화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습니다.

3. 수심별 차이:

  • 표층 수온: 표층 수온은 대기와의 직접적인 열 교환으로 인해 비교적 빠른 속도로 상승하고 있습니다.
  • 심층 수온: 심층 수온은 표층 수온에 비해 상승 속도가 느리지만, 꾸준히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동해 심층수의 수온 상승은 해수 순환 패턴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으며, 장기적으로 동해의 해양 환경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4. 계절별 차이:

  • 여름철 고수온 현상: 여름철에는 동해의 표층 수온이 최고 수준으로 상승하며, 특히 폭염이 발생하는 해에는 과거에 경험하지 못했던 고수온 현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 겨울철 저수온 현상: 겨울철에는 북서풍의 영향으로 수온이 낮아지지만, 장기적으로 볼 때 겨울철 수온 역시 상승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5. 관측 자료 및 연구 결과:

  • 국립해양조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 여러 기관에서 동해의 수온 변화를 지속적으로 관측하고 연구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동해 수온 상승의 원인과 영향을 파악하고, 미래 해양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IPCC) 보고서 등 국제적인 연구 보고서에서도 동해의 수온 상승이 주요 사례로 언급되고 있습니다.

주의사항:

  • 위에서 제시된 수치는 다양한 관측 자료와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추정한 값이며, 측정 위치, 측정 시기, 분석 방법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 동해의 수온 변화는 매우 복잡한 현상이며, 다양한 요인들이 상호 작용하여 나타나는 결과입니다. 따라서 특정 수치에만 집중하기보다는 장기적인 추세와 변화 양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