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해병대는 부대가 달라도 선후임 관계가 유지되나요?

고운바다 2025. 4. 12. 09:26

해병대는 부대가 달라도 선후임 관계가 유지되는 문화가 강하게 존재합니다. 이는 해병대 특유의 끈끈한 전우애와 엄격한 위계질서에서 비롯됩니다.

기본 원칙:

  • 기수 문화: 해병대는 입대 기수를 기준으로 선후임 관계를 형성합니다. 같은 기수끼리는 서로 동기로 대하고, 기수가 높으면 선임, 낮으면 후임이 됩니다.
  • 서열 유지: 부대가 달라지더라도 기수는 변하지 않으므로, 선후임 관계는 유지됩니다. 즉, A부대에서 먼저 복무한 해병은 B부대로 전입을 가더라도 B부대에서 나중에 입대한 해병보다 선임 대우를 받습니다.

구체적인 상황:

  • 호칭: 공식적인 자리에서는 계급을 사용하지만, 사적인 자리에서는 선임에게 'OOO기 선임', 후임에게는 'OOO기'와 같이 기수를 붙여 호칭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존칭: 비록 부대가 다르더라도 선임에게는 존칭을 사용하며, 예의를 갖추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상호 협력: 다른 부대 소속이라도 해병대라는 공통점 때문에 서로 돕고 의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특히 어려움에 처했을 때 선임에게 도움을 요청하거나, 후임을 챙겨주는 문화가 있습니다.
  • 모임: 전역 후에도 기수별로 모임을 가지는 경우가 많으며, 이를 통해 선후임 관계를 지속적으로 이어갑니다.

예외 사항:

  • 지휘 관계: 실제 지휘 체계에서는 부대 내의 직책과 계급이 우선됩니다. 즉, A부대 소속의 하사가 B부대 소속의 병장보다 기수가 높더라도, B부대에서는 병장이 하사의 지시를 따라야 합니다.
  • 특수한 경우: 극히 예외적인 경우, 개인적인 문제나 갈등으로 인해 선후임 관계가 소원해지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주의 사항:

  • 시대 변화: 과거에 비해 군대 문화가 많이 유연해졌지만, 해병대 특유의 선후임 관계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다만, 과거처럼 지나치게 엄격하거나 강압적인 분위기는 많이 사라졌습니다.
  • 개인 차이: 모든 해병이 똑같이 행동하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성격이나 가치관에 따라 선후임 관계를 대하는 방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해병대는 부대가 달라도 기수를 중심으로 선후임 관계가 유지되는 경향이 강합니다. 이는 해병대 특유의 문화에서 비롯된 것이며, 호칭, 존칭, 상호 협력 등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납니다. 다만, 지휘 관계나 개인적인 문제 등 예외적인 상황도 존재하며, 시대 변화에 따라 그 강도가 약해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