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집에 불났을 때, 소화기로 안 꺼지면 뭘 해야 할까요?

고운바다 2025. 4. 14. 10:53

집에 불이 났을 때 소화기로 초기 진화에 실패했다면, 다음의 단계를 신속하고 침착하게 따르세요.

1. 즉시 대피:

  • 우선 생명: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당신과 가족의 안전입니다. 불길이 번지고 있다면 즉시 대피하세요. 귀중품이나 다른 물건을 챙기려고 시간을 낭비하지 마세요.
  • 낮은 자세 유지: 연기는 위로 올라가므로, 바닥에 최대한 가깝게 엎드리거나 웅크린 자세로 이동하세요.
  • 젖은 수건 활용: 가능하다면 젖은 수건이나 천으로 입과 코를 막고 숨을 쉬세요. 이는 유독가스를 흡입하는 것을 줄여줍니다.
  • 문 닫기: 대피하면서 지나가는 방이나 문은 모두 닫으세요. 이는 불길의 확산을 늦추고 연기가 퍼지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이 됩니다.
  • 탈출 경로 확보: 미리 정해둔 비상 탈출 경로를 따라 신속하게 대피합니다. 만약 경로가 막혔다면 다른 탈출로를 찾아야 합니다. 창문을 통해 탈출해야 할 경우, 추락에 대비하여 침대 시트나 커튼 등을 묶어 로프처럼 활용할 수 있습니다.
  • 엘리베이터 사용 금지: 화재 시에는 절대로 엘리베이터를 이용하지 마세요. 엘리베이터가 멈추거나 오작동할 위험이 있습니다. 반드시 계단을 이용하세요.

2. 119 신고:

  • 안전한 장소에서 신고: 집에서 완전히 벗어난 안전한 장소에서 119에 신고하세요.
  • 정확한 정보 제공: 침착하게 화재 발생 위치 (주소, 건물 종류, 층수 등), 화재의 종류와 크기, 인명 피해 상황 등을 정확하게 전달해야 합니다.
  • 소방관 안내: 가능하다면 소방차가 도착했을 때 화재 현장으로 안내하여 초기 진압을 돕습니다.

3. 주변 알림:

  • 이웃에게 알리기: 대피하면서 큰 소리로 "불이야!"라고 외치거나, 집집마다 문을 두드려 이웃에게 화재 사실을 알리세요. 특히 노약자나 거동이 불편한 이웃이 있다면 안전하게 대피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4. 추가적인 안전 조치:

  • 가스 및 전기 차단: 가능하다면 집 밖으로 나가기 전에 가스와 전기를 차단하세요. 이는 추가적인 폭발이나 감전 사고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지만, 불길이 거세어 위험한 상황이라면 무리하게 차단하지 않아도 됩니다.
  • 소방관 지시 따르기: 소방관이 도착하면 그들의 지시를 따르고,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여 화재 진압을 돕습니다.
  • 재진입 금지: 화재가 진압될 때까지 절대로 집 안으로 다시 들어가지 마세요. 소방관의 허락 없이는 어떠한 경우에도 재진입해서는 안 됩니다.

화재 예방을 위한 추가 조언:

  • 화재 경보기 설치 및 점검: 각 층마다 화재 경보기를 설치하고, 정기적으로 작동 여부를 점검하세요. 배터리 교체 시기를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소화기 위치 및 사용법 숙지: 소화기를 잘 보이는 곳에 비치하고, 사용법을 숙지해두세요. 정기적으로 소화기의 압력 게이지를 확인하고, 유효 기간이 지난 소화기는 교체해야 합니다.
  • 비상 탈출 계획 수립: 가족과 함께 비상 탈출 계획을 세우고, 정기적으로 대피 훈련을 실시하세요. 탈출 경로, 대피 장소, 연락 방법 등을 미리 정해두면 실제 화재 발생 시 당황하지 않고 신속하게 대피할 수 있습니다.

화재는 예측할 수 없는 위험한 상황이므로, 평소에 안전 수칙을 잘 지키고 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