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멀미약은 어떤 성분이 멀미를 멎게 하나요?

고운바다 2025. 4. 15. 10:17

멀미약의 주성분은 크게 항히스타민제와 스코폴라민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멀미를 멎게 합니다.

1. 항히스타민제:

  • 작용 기전:
    • 항히스타민제는 뇌의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를 완화합니다. 특히 H1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멀미는 내이의 전정기관이 과도하게 자극되어 발생하는데, 이때 신경전달물질인 히스타민이 분비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전정기관의 과도한 신호 전달을 억제합니다.
    • 일부 항히스타민제는 뇌의 구토 중추에도 작용하여 구역 및 구토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구체적인 성분 및 효과:
    • 디멘히드리네이트: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 중 하나입니다. 멀미로 인한 구역, 구토, 어지럼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메클리진: 디멘히드리네이트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지속 시간이 더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시클리진: 멀미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며, 진정 효과가 비교적 적습니다.
  • 부작용:
    • 졸음, 입마름, 시야 흐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스코폴라민:

  • 작용 기전:
    • 스코폴라민은 '항콜린제'로 분류되며, 뇌의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를 완화합니다.
    • 전정기관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 중 아세틸콜린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코폴라민은 아세틸콜린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신경 신호 전달을 억제합니다.
    • 특히, 뇌의 구토 중추에 작용하여 구역 및 구토를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 투여 경로:
    • 경구 복용, 주사, 피부에 붙이는 패치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 부작용:
    • 입마름, 졸음, 시야 흐림, 배뇨 곤란,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환각, 섬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환자는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요약:

성분 작용 기전 효과 주요 부작용
항히스타민제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 전정기관 과도한 신호 억제, 구토 중추 억제 (일부) 구역, 구토, 어지럼증 완화 졸음, 입마름, 시야 흐림
스코폴라민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차단, 전정기관 신호 전달 억제, 구토 중추 억제 구역, 구토 완화 (매우 효과적) 입마름, 졸음, 시야 흐림, 배뇨 곤란, 변비

멀미약 선택 시에는 개인의 건강 상태, 예상되는 멀미 정도,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