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멀미약의 주성분은 크게 항히스타민제와 스코폴라민으로 나눌 수 있으며, 이들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멀미를 멎게 합니다.
1. 항히스타민제:
- 작용 기전:
- 항히스타민제는 뇌의 '히스타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를 완화합니다. 특히 H1 수용체를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멀미는 내이의 전정기관이 과도하게 자극되어 발생하는데, 이때 신경전달물질인 히스타민이 분비됩니다. 항히스타민제는 히스타민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전정기관의 과도한 신호 전달을 억제합니다.
- 일부 항히스타민제는 뇌의 구토 중추에도 작용하여 구역 및 구토를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구체적인 성분 및 효과:
- 디멘히드리네이트: 가장 흔하게 사용되는 항히스타민제 중 하나입니다. 멀미로 인한 구역, 구토, 어지럼증을 완화하는 데 효과적입니다.
- 메클리진: 디멘히드리네이트와 유사한 효과를 가지며, 지속 시간이 더 길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시클리진: 멀미 예방 및 치료에 사용되며, 진정 효과가 비교적 적습니다.
- 부작용:
- 졸음, 입마름, 시야 흐림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2. 스코폴라민:
- 작용 기전:
- 스코폴라민은 '항콜린제'로 분류되며, 뇌의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를 차단하여 멀미를 완화합니다.
- 전정기관에서 뇌로 전달되는 신호 중 아세틸콜린이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스코폴라민은 아세틸콜린이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아 신경 신호 전달을 억제합니다.
- 특히, 뇌의 구토 중추에 작용하여 구역 및 구토를 효과적으로 억제합니다.
- 투여 경로:
- 경구 복용, 주사, 피부에 붙이는 패치 등 다양한 형태로 제공됩니다.
- 부작용:
- 입마름, 졸음, 시야 흐림, 배뇨 곤란, 변비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드물게는 환각, 섬망 등의 심각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 녹내장, 전립선 비대증 환자는 사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요약:
성분 | 작용 기전 | 효과 | 주요 부작용 |
---|---|---|---|
항히스타민제 | 히스타민 수용체 차단, 전정기관 과도한 신호 억제, 구토 중추 억제 (일부) | 구역, 구토, 어지럼증 완화 | 졸음, 입마름, 시야 흐림 |
스코폴라민 |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 차단, 전정기관 신호 전달 억제, 구토 중추 억제 | 구역, 구토 완화 (매우 효과적) | 입마름, 졸음, 시야 흐림, 배뇨 곤란, 변비 |
멀미약 선택 시에는 개인의 건강 상태, 예상되는 멀미 정도, 부작용 등을 고려하여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게 뭔지 궁금해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리콘, 줄눈 등 미장 기술 배우려면 어떤 학원이 좋을까요? (0) | 2025.04.15 |
---|---|
파마 시 파지 덧대는 이유, 미사용 시 문제? (0) | 2025.04.15 |
우울증 겪는 사람은 자살 생각할 만큼 힘든가요? (0) | 2025.04.15 |
알리바이 증명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나요? (0) | 2025.04.15 |
귀농 조건 및 정부 지원금? (0) | 2025.04.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