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콧물, 기침 시 바로 병원 가야 할까요?

고운바다 2025. 4. 22. 09:33

콧물, 기침 증상만으로는 바로 병원에 가야 하는지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 방문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증상

  • 심한 증상:
    • 숨쉬기 힘든 경우: 쌕쌕거리는 소리가 나거나, 숨을 쉴 때 가슴이 움푹 들어가는 경우
    • 심한 기침: 밤에 잠을 자기 힘들 정도의 심한 기침, 기침으로 인해 구토하는 경우
    • 고열: 38도 이상의 고열이 지속되는 경우 (특히 영유아)
    • 탈수 증상: 소변량이 줄고, 입술이나 피부가 건조해지는 경우
    • 심한 두통 또는 흉통: 콧물, 기침과 함께 심한 두통이나 흉통이 동반되는 경우
  • 오래 지속되는 증상:
    • 10일 이상 지속되는 콧물/기침: 일반적인 감기는 1주일 정도면 호전되지만, 10일 이상 증상이 지속되면 다른 원인을 의심해야 합니다.
    • 증상 악화: 시간이 지날수록 콧물, 기침이 더 심해지는 경우
  • 특이한 증상:
    • 녹색/황색 콧물: 세균 감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피 섞인 콧물/기침: 심각한 질환의 신호일 수 있습니다.
    • 귀 통증: 중이염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 발진: 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발진일 수 있습니다.

2. 나이 및 기저 질환

  • 영유아: 영유아는 면역력이 약하기 때문에 감기 증상이라도 빠르게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3개월 미만의 아기는 미열이라도 병원에 데려가는 것이 좋습니다.
  • 노인: 노인 역시 면역력이 약하고,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만성 질환자: 천식, 만성 폐 질환, 심장 질환, 당뇨병 등 만성 질환을 앓고 있는 경우 감기가 악화될 위험이 높으므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 면역 저하자: 항암 치료, 면역 억제제 복용 등으로 면역력이 저하된 경우 감염에 취약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3. 기타 고려 사항

  • 최근 해외 방문력: 최근 해외를 방문한 경우, 감기와 유사한 증상을 보이는 다른 질병(예: 코로나19, 독감)의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 집단 발생: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 감기 환자가 집단으로 발생한 경우, 전염 가능성을 고려해야 합니다.

병원 방문 시 준비 사항:

  • 증상 발생 시점, 증상의 종류와 정도, 복용 중인 약물 등을 미리 메모해두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마스크를 착용하고, 손 위생을 철저히 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 위 정보는 일반적인 내용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