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뭔지 궁금해요

전입신고 절차는 온라인으로 가능한가요?

고운바다 2025. 2. 20. 10:55

네, 전입신고는 온라인으로 가능합니다. 아래는 온라인 전입신고 절차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입니다.

1. 준비물:

  • 본인 인증 수단: 공동인증서(구 공인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예: 카카오페이, PASS 등)
  • 이사 온 주소: 정확한 새 주소 정보 (도로명 주소, 동/리/번지)
  • 세대주 확인: 세대주 본인이 신청하는 경우 바로 진행 가능하며, 세대주가 아닌 세대원이 신청하는 경우, 세대주 확인 절차가 필요합니다.
  • 기존 주소 정보: 이전 주소 및 이사 날짜
  • 정부24 아이디: 정부24 웹사이트 또는 앱을 이용하기 위한 계정 (없으면 회원가입 필요)

2. 온라인 전입신고 방법 (정부24):

  1. 정부24 접속: 정부24 웹사이트(https://www.gov.kr/) 또는 정부24 앱에 접속합니다.
  2. 로그인: 본인 인증 수단 (공동인증서 또는 간편 인증)을 이용하여 로그인합니다.
  3. 전입신고 검색: 검색창에 "전입신고"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4. 전입신고 신청: 검색 결과에서 "전입신고" 항목을 찾아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신청서 작성:
    • 신청인 정보: 이름, 연락처 등 신청인 기본 정보를 입력합니다.
    • 이사 전 주소: 이사 오기 전 주소 (기존 주소)를 입력합니다.
    • 이사 온 주소: 새로 이사 온 주소 (새 주소)를 정확하게 입력합니다. 도로명 주소와 상세 주소 (동/호수)를 빠짐없이 기재해야 합니다.
    • 세대 구성 정보: 세대주와의 관계 (본인, 배우자, 자녀 등)를 선택하고, 함께 이사하는 가족 구성원을 추가합니다.
    • 선택 사항:
      • 주민등록증 주소 변경: 주민등록증 뒷면에 변경된 주소를 기재할지 여부를 선택합니다. (온라인 신청 시에는 보통 직접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필요)
      • 초등학교 배정 정보: 자녀가 초등학생인 경우, 초등학교 배정 관련 정보를 입력합니다.
      • 사회적 약자 편의 지원: 필요한 경우 해당 항목을 선택합니다.
  6. 세대주 확인 (세대주 본인이 아닌 경우):
    • 세대주가 직접 신청하는 경우에는 이 단계가 생략됩니다.
    • 세대원이 신청하는 경우, 세대주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 온라인 확인: 세대주가 정부24에 로그인하여 전입신고 요청을 확인하고 동의합니다.
      • 방문 확인: 세대주가 신분증을 지참하고 읍/면/동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동의합니다.
  7. 신청 완료: 신청 내용을 최종 확인하고 "신청" 버튼을 클릭합니다.

3. 처리 완료 확인:

  • 신청 후 정부24에서 진행 상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이페이지 > 서비스 신청 내역)
  • 전입신고 처리 완료까지는 일반적으로 3시간 이내 (업무 시간 기준) 소요됩니다.
  • 처리 완료 후에는 정부24에서 전입신고 완료 확인서를 출력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온라인 전입신고는 이사 후 14일 이내에 해야 합니다.
  • 허위로 전입신고를 하는 경우 법적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온라인 전입신고가 불가능한 경우:
    • 과거에 전입신고를 취소한 이력이 있는 경우
    • 해외에서 귀국하여 전입신고를 하는 경우
    • 개명 등으로 인해 주민등록 정보가 변경된 경우
    • 기타 온라인으로 처리하기 어려운 특수한 사정이 있는 경우 위와 같은 경우에는 읍/면/동 주민센터를 직접 방문하여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온라인 전입신고 시 어려움이 있거나, 추가적인 문의 사항이 있는 경우 정부24 고객센터 (1588-2188) 또는 가까운 읍/면/동 주민센터에 문의하시면 도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